|
 |
|
|
|
1950년대 한 고아원 양호실에서 피부병을 치료하는 모습.(제주특별자치도 발간 사진집「사진으로 보는 제주역사」) |
|
| 아으덜은 벵 이기는 힘이 약연 걸리곡
엇인 아으들은 질 못난 부스럼이 생깁주
이번에는 피부벵 이야기나 헙주 양. 피부벵은 봐사알주 랑 몰라마씀. 경여도 라사 구완을 거난 저레 가는 자자기 할망을 부르커매 곡지 들어보십서.
# 나당 버치민 열독 나곡
여름 뒈어가난 피부벵이 하 감수다. 두드레기 낭 질질영 당 버치민 막 긁어젼 긁은 손콥그믓에 균이 들어가민 부스럼도 생기곡 열독도 잘 생기는 거우다.
요새는 아으덜도 게 키우난 경 안 헴주마는 너미 첵 여도 부스럼이 잘 생깁네다. 부스럼지, 부스레미, 부으럼, 부으레기, 부으럼지가 다 피부에 균이 들어간 생기는 거우다. 몸에 난 조금 큰 부스럼을 허물이엔 곡 넓적하게 퍼지민 너벅지시엔 라마씀. 낫아가민 닥지가 생기당 허물그르 냉기곡 좋아집주.
아으덜은 벵을 이기는 힘이 약연 걸리곡, 엇인 아으들은 질 못난 부스럼이 생깁주 마씀. 코흘채기 아으덜이 코피렝이 다듬단 손으로 이레 긁억 저레 긁억 단보민 이레저레 이런 부스럼이 생기는 거난 두린아으덜 손을 게 잘 씻어주곡, 몸이 축축지 않게 잘 닦아줍서. 덜 때 피부과 벵원에 강 항셍제 연고를 르곡 심민 항셍제를 멕여야 될 거우다.
열독은 여름에 고망이나 터럭 고망이 막아젼 균이 번성는 피부벵이라 마씀. 양지에 나는 싸움·너스름·스름·보포레미·부푸레미·강비리·강베리, 눈 바우에 나는 둘럿광 개씹, 귀 고망에 도지기·귀야덜·귀아들·귓밋, 코바우에 코아덜, 둑지나 뒷고개에 큰종기, 등따리에 난 등창, 다리에 화담 는거·꽃담 불근거 이런 것들이 다 열독의 일종이라 마씀. 다리에 종기가 생기민 강알트멍에 느진돗·느진돌·가렛톳이 바짝 사곡, 닷이나 앞슴에 종기가 생기민 깡이에 멍얼이 삽주.
열독은 가운디에 농이 앉앙 물랑물랑해가민 익어가는 고라, 빙원에서 칼로 휏 체연 더레 누르뜨민 고름이 콸콸 나옵네다. 살이 덜 곪안 끈작게 덩어리로 가운디 엉켜진 걸 애옥이엔 는디 애옥이 나와 불곡, 고름 빠진 종기자리에 궂인물이 다 나와부러사 종기가 낫는 거라 마씀.
# 물버짐 걸린 발을 박게 굴민 고셍이라
여름 뒈어가난 습도가 높으곡, 집안이 누기쪄 가민 곰셍이가 피는디, 사름 몸에도 가지우다. 이 잘 나곡 피부가 눅눅곡, 름도 안 통곡, 열기가 잇어가민 각질이 두텁곡 축축 발가락 트멍이나 발창, 발콥, 강알트멍, 갈리 겹치는 디에 곰셍이가 잘 살아마씀. 초담에는 발가락 트멍에서 시작당 발창광 발콥으로 퍼져가곡 박박 긁다보민 강알, 깡이로 전염뒈어가 마씀. 그 곰셍이 이름을 무좀균이엔 곡, 몸에 일민 버즘이엔 는 디, 발에 생기민 물버짐, 몸에 생기민 도장버즘·도리버즘·먹는 버즘·버짐, 아으덜 데멩이에 생기민 이발충·짓·지시, 강알에 생기민 완선, 깡이나 뒷야개기에 생기민 어르레기나 어린둘럿이엔 라마씀.
물버짐은 날이 르곡 시주그랑여 가민 곱앙살당 덥곡 눅눅해가민 기십이 살아나마씀. 신착에 이 차민 피부 각질층이 보드라와지곡 트멍이 생겨 무좀균이 잽쪈들언 피부각질을 녹여먹으멍 번식는고라, 봅서양, 신착 소곱은 곡 왁왁고 눅지근난 곰셍이가 잘 살 거 아니우꽈. 게난 신착을 오래 신엉 댕기는 분, 하영 흘리는 분, 찐 사름, 더운 디서 일는 사름들이 무좀에 잘 걸려마씀. 증상을 보민 피부가 바싹 를 때도 잇주마는 대개는 추겨젼 부풀곡, 곡, 물집이 터지곡, 진물이 나곡, 붓곡, 내움살 나곡, 가죽이 벳겨젼 와지직 아프곡, 와삭와삭 따거웁곡 허여마씀.
지일 흔한 무좀은 넷째와 새끼발가락 트멍이 좁작여노난 허영게 짓물르고 갈라져마씀. 오래 되민 발창이 두꺼워지곡 게 갈라지멍 허영게 변는데, 그때는 거나 아프진 아니 주. 나중읜 손발콥이 두꺼워지고 뽀사지는 발톱무좀이 되어그네 무좀이 고질이 됩주. 무좀균은 오래 살멍 양말, 옷, 이부자리, 방레, 공용 슬리퍼로 이레저레 퍼지곡 다른 식솔한티도 옮아갑네께.
강알이 막 완 는 사름은 강알에 버짐이 들어신디사 잘 봅서. 그걸 ‘완선’이엔 는디 발에 무좀 잇인 사름이 곰셍이를 옮경 경 네다. 당뇨벵자는 완선에 걸리민 잘 아니 낫이난 특별히 주의를 허십서.
|
 |
|
|
|
장시영 의원. 장시영은 해군병원 외과과장과 병동장을 역임했으며 제14대 제주도의사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제주특별자치도 발간 사진집「사진으로 보는 제주역사」) |
|
| 경곡, 발에 피부벵 생겼댄 딱 무좀은 아닙주. 발에도 여러 가지 피부벵, 습진, 건선, 나는 벵, 신발 알레르기도 생기난 전문의한티 치료를 받읍서. 무좀약에는 항진균외용제 곡 내복약이 잇수다. 궤약을 랑 보름이 지나민 곰셍이는 죽곡 려움증이나 물집 증상은 좋아져도, 곰셍이 포자는 그냥 남앗당그네 덥곡 습민 도로 살아나 마씀. 경난 포자까지 딱 없애젠 민 증상이 엇어져도 두 달은 계속 라야 마씀. 게난 아무 벵이든 을성 있곡 정성이 잇어사 낫주 욕속심으로 고쳐집네까. 무좀이 심연 손발콥 무좀으로 뒈민 먹는약을 먹어삽네다. 손발콥 무좀에는 최소 석달 이상은 먹어사 마씀.
독한 약이나 조벤약으로는 물무좀이 더 나빠져 마씀. 무사 좋은 약은 데껴불곡 식초나 조벤약을 쓰는지 그추룩 이녁 발을 박게 구는 사름은 고셍여 마씀. 발 엇인 사름은 ‘아이고 무좀 걸린 발이라도 잇어시민’ 난양 곱게 고치곡 곱게 발을 앗앙 뎅깁서.
경난 무좀을 막젠 민 무좀균이 자라지 못게 민 될 거 아니우꽈. 발을 매양 곡 건조게 민 예방이 됩네다. 진네 비누로 잘 씻곡 잘 려삽주. 발가락 트멍이 딱 붙엉 잇인 사름은 더 물기를 잘 닦곡 멩심연 립서, 발가락 트멍이 습기 안차게 건불리곡 신발 양말을 잘 앙 신읍서. 양말이나 신착이 발착민 틀림엇이 물버짐이 들어마씀. 젖인 건 바로 갈아 신어삽주. 신착도 나 꺼 의 꺼 갈앙 신으십서.
# 벳 받앙 벳겨지당 버치민 가망둥이
저 사름이 무사 가망둥이가 되어신고? 피부가 본래 검은 사름도 잇곡, 껌정이 묻어서 가망게 된 사람도 잇주마는 여름에 조작 벳디 뎅기멍 그실려노난 가망 거라 마씀.
여름 바당이나 밧듸서, 드르광 오름산에서, 모살이나 아스팔트에 반사되는 벳도 하영 받으민 벳열로 피부가 벳겨지당 버치민 거멍게도 됩주기. 체질탓도 잇주마는 피부의 멜라닌 색소 양과 새로 멘드는 멜라닌 양에 따라 달라져 마씀.
초담의 버얼겅 단 붓곡, 부끌레기 생기곡, 가죽 벳겨지곡, 아프곡 곡 화끈거리곡, 데멩이도 아프곡 열나곡 도 아니오곡 다가 피부가 거멍게 그실려지는 거라 마씀. 경당 멫년을 벳 받아가민 피부가 질허늙언 주름살이 생깁주. 경곡 피부 핏줄이 커지곡 리똥·리침·리춤도 생기곡, 초기·검버섯·저승꼿·사막이 생기곡 피부가 가슬락가슬락 거끌거끌 가스승곡 두꺼워집주 마씀.
주름은 인생 계급장이라고 삶에 들단 보난 생기주 마는, 대개는 조작 벳디 뎅기곡 밧듸서 일멍 벳을 받은 탓이난 방법을 허십서. 꼴 싱크리지 말곡, 페렝이 쓰곡, 긴옷 입곡, 자외선 차단제 르곡, 눈굽지 않게 선글라스 쓰곡, 때도 밀지 말곡.
# 물버짐
옛날에 비리 회성 사름이 잇어낫수다. 비리에 걸렸당 베롱게 살아난 사름을 비리 회성였댄 곡 비리에 걸련 시도 때도 엇이 복작복작 긁는 사름을 비리쟁이엔 라마씀. 삼춘, 용맹 사자나 범도 비루가 몸에 퍼지민 필경 살지 못다 지 아니 헙대가. 사름이 너미 와도 두루웨가 되는 겁디다 양. 저 무충이가 사흘밤 나흘을 죽장 자진 못 곡 글근글근 긁작긁작 긁어노난 사름 정체가 아니라 공다리가 되연마씀.
하도 완 멍석을 풰와놘 누엉 둥그는디 볼 꼴이 아닙데다. 밤새낭 긁잰난 을 자질 말이우꽈. 눈 벨르민 눈이 벌겅 눈콥제기지멍, 손거림의서 홀목 닷으로 깡이·젓가슴·베또롱·베떼기·두더니·가달머리로 늬치럼 잘잘멍 진네 긁으는 거라 마씀. 그거 올르는 건가, 잘콴다리우다.
거령성디 뎅기당 올랑 완 저거 아니우꽈. 온 집안의 퍼져노민 그거 무신 꼴이우꽈. 재기 구완 해사주. 예전읜 오갈피낭 은 물로 씻어나곡 유황 벙뎅이를 앙 데운 물로 목간도 해서마씀. 요샌 약이 좋으난 양, 게난 피부과 벵완에 가난 무싱거엔 릅디가. 옴엔 마씀, 게매 옴 닮아라. 그거 개선충이라고 몬지 보단 은 준시 닮운 충이 원인이라고, 올르는 거난 멩심연 구완 헙서. 옴약을 자기 전 야개기 알더레 다 볼라사주. 경곡 속옷이랑 아불곡 이부자리랑 벳디 다 널엉 소독곡 게 살아삼네다. 비리 회성 사름곡 치 뎅기질 말아사 는디, 애구구, 게민 나도 가 부러사키어.
글 김정택 수필가·세종의원 원장·㈔제주어보전회 이사 |